MMPI 코드타입 정리: 24/42, 243/423
24/42
- 만성적인 24/42 생활양식이거나 상황적 좌절으로 인해 4 올라간 사람일 수 있음
- 감정: 우울, 죄절, 불만족, 분개, 미래에 대한 비관적 태도
- 행동: 스트레스 받으면 충동적 행동화(상황 벗어나기 위해 shortcut 사용) 후 자기비난, 타인 비난할 수 있음, 자기파괴적 행동 가능
- 행동화 후 처벌되면 잡힌 것에 의해 고통받을 뿐 충동성을 줄이는 죄책감을 느끼지 않음. 순환적 패턴 될 가능성 높음. “잃을 게 없어”라는 청소년에게도 나타남(곤경에 빠졌다고 생각해서, 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 같은 충동적 행동함)
- 문제: 가족문제, 직업 및 학업 문제
- 과거력:
- 치료
치료 중 행동: “제가 다 해봤는데 안 됐어요” 태도, 어떤 에너지, 변화도 투자하지 않으려 함. 따라서, 작고 구체적인 과제를 부드럽게 제시하는 것이 좋음
과거력: 여러 차례 정서적인 let down, 유기 있었을 가능성 ->mistrust 생성
If) 4가 원래 높고 2가 상황적 factor로 상승했을 경우, 어릴 적 갇히고 실패한 것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스스로를 마비시켰는지(numb themselves) 보는 게 도움됨
치료: ①스트레스가 쌓여온 것을 인식하고, ②충동적으로 해결하지 않는 방법 확인하기
243/423
- 3척도가 더해져 부정, 억압, 거절 피하기 위한 역할놀이 능력이 두드러짐. 자기희생적이지만, 그에 대해 분노 느낌.
- 감정: 갇힌 기분, 분노 +불안, 긴장
- 23이 4 행동화를 조절함
갇힌 것 같고 슬프고, 이런 것을 충동적으로 해결하고 싶지만, 좀 더 상징적이고 수동-공격적인 행동으로 나타남. (섭식장애, 물질중독, 혹은 화내고 부정deny).
Oral dependent: 우울, 사랑과 승인 갈구, 그러나 감정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유기될 가능성
Approach-avoidance: 감정적 욕구 채우기 위해 타인 조정, 재확인 갈구하지만 받아들이지 않음, 만성적 분개, 행동화를 자신의 욕구 채워지지 않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 정당화함
- 치료
과거력 탐색: 초기 아동기 거절, 감정적 학대, (3,4가 유의하게 상승했다면) 신체적 학대. 적응하려는 반응으로 거절과 갈등 피하기 위해 남들이 원하는 대로 role-play함
과거 영향: 양육자가 폭발적이거나, 아이를 까내리거나, 학대하는 등. 희망없이 갇힌 느낌, 자신의 욕구 채울 수 없었음. 어렸을 때부터 자신이 원하는 사람보다 부모가 원하는 사람이 되어야 했기 때문에 좌절되고 자신이 원하는 바 생각할 수 없었을 수 있음. 바른 역할 해서 거부 피하고, 남들 즐겁게 해주고, 잘 들어맞기 위해 노력했을 수 있음. 남들이 나신을 돌보기 위해 남들을 교묘히 조종하지만, 그들을 신뢰하지는 않음
치료 초점: ①그들이 원하는 것, 남들을 위해 역할로써 하는 것 구분, ②분노 인식하고, 이를 조종적 방식 말고 직접적 방식으로 표현하도록 돕기. ③통찰력 부족하므로 자신 통합 필요
치료방법: 주장성 훈련(조종적인 방식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과거 경험에 대한 카타르시스, 과거 감정적으로 학대당한 자신에 대해 공감능력 키우기 -> 자신이 어떻게 마비된 것처럼 느끼고 role-playing 해왔는지 인식.
2가 주된 프로파일이라면, 우울 해결하기 위한 43이 과통제와 role-playing일 수 있음. 우울 더 세다면 antidepressant 고려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 codetype 정리: 26/62, 27/72, 278/728, 287/827 (2) | 2020.04.09 |
---|---|
MMPI codetype 정리: 247/427/472/724, 274/724 (0) | 2020.04.01 |
MMPI codetype 정리: spike 2, 23/32, 213/231 (0) | 2020.03.24 |
MMPI codetype 정리: 18/81, 19/91, 10/01 (0) | 2020.03.18 |
MMPI code type 정리: 14/41, 15/51, 16/61, 17/71 (0) | 2020.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