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 상승 쌍척도 정리: 31, 32, 321
31
- 13의 비관적, 부정적, 실패적인 모습과 반대로, 고통을 마주쳐도 더 긍정적인 모습 보임.
32
" 웃으며 이겨내는 희생적인 부모, 죄책감 느끼는 자녀"
- 23과 다르게 겉으로 드러나는 우울, 건강 염려가 더 적음. Smiling depression 보이면서도 피로하다거나, 위계양, 두통, 어지러움 호소함.
- 불안을 호소하지만, 실제로는 우울, 집중곤란, 기억곤란, 효율저하의 증상을 나타냄.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책임감있고, 야망적이고, 성실한 모습 보임
- 여성의 경우 이혼은 드묾. 의무, 책임감있는 엄마이지만 성적으로 inhibited되어있으며 성적 추동 적음.
- 비판, 거부에 민감하며, 거절을 피하기 위해 co-dependent한 관계 있을 수 있음. 성취에도 불구하고 자기의심으로 인해 부적절감 느낌.
- 치료
n 이들의 자녀는 32사람의 자기희생적이고 죄책감을 유도하는 패턴 때문에 특히 청소년기에 그들에게 화날 수 있고 분개할 수 있음
n 항우울제, 이완치료, 주장성치료
n L 증가했다면 더 극심한 부인, 경직성, 정신적 질병 있다고 라벨링 되는 것에 대한 걱정 높음
n 치료의 초점은 신체적 증상, 혹은 배우자나 자녀의 문제
n 어린 시절 양육자의 죽음 과거력이 흔함. 상실을 겪고 용감했어야 하기 때문에, 상실과 관련된 분노, 슬픔에 접근할 수 없었을 가능성. à 역할극, 게슈탈트 치료 “do the talking” 통해 과거 분노, 슬픔 표현할 수 있도록
321
- 321상승+9하락: 체중문제, burned out
- 32+ 건강염려,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적 반응
- 과거 영향: 어머니가 애정어리지만, 엄격하고 통제적인 스타일. 여성은 울고, 불안해하고, 열등감 느낄 수 있음. 남/녀 모두 성적 친밀감, 낮은 성적 빈도, 학교 성취 낮았음
- 치료 mindfulness(감정 직접적 표현), 특정 성취에 대해 기쁨, 자랑, 축하하는 역할연기 통해 그동안 무감각하게 놔두었던 긍정적 감정에 개입시키기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 codetype 정리: 척도 4 설명, spike 4 (0) | 2020.04.17 |
---|---|
MMPI codetype 정리: 34/43, 36/63,37/73, 38/83 (0) | 2020.04.16 |
MMPI codetype 정리: 3척도 설명, Spike 3 (0) | 2020.04.15 |
MMPI codetype 정리: 28/82, 29/92 (0) | 2020.04.10 |
MMPI codetype 정리: 26/62, 27/72, 278/728, 287/827 (2) |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