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 Minutes Therapy Tips - Episode 18: Couple Therapy
커플 상담, 부부 상담을 시작할 때, 보통 내담자들은 서로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거나 자신이 얼마나 힘든지를 말하는데 많 시간과 에너지를 쓸 수 있다.
그것 또한 커플 상담의 중요한 부분이겠지만, 상담과 치료를 하는 임상가는 치료의 초반부터 해결 중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입을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
2가지 방법이 개입을 도울 수 있다.
1. 먼저 “그저 알아챌 수 있는 정도”로 행동을 바꿔라(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
- 우리의 관계에서 상대방이 아니라 나 자신이 할 수 있는 정말 간단한 노력을 해라.
- 예로, 상대방에게 더 많이 웃어보인다거나, 따뜻한 말을 건내볼 수 있다.
- 1주일 간 노력한 뒤에는 서로 바뀐 행동이 무엇이엇는지, 알아챘는지 대화하는 시간을 가진다.
- 만약 알아채기 어려웠다면 그 이유를 얘기해보고, 다음 주에 다시 확인해본다.
-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상대방이 바뀌기를 원하기 보다 나 스스로를 바꿈으로써 관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2. 이상적인 관계는 어떤지 상상해보고, 계속해서 이미지 트레이닝처럼 계속 떠올려라 (Ideal Performing State; IPS)
- 더 나아진 관계를 생각하고 이를 상대방과 나누고 소통한다.
- 그리고 그 이상적인 관계에 대해 사진을 남겨놓고, 보고 또 본다. 마치 야구선수가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여 야구방망이로 야구공을 맞추고 뛰는 상상을 계속해서 하는 것처럼.
느낀점
- 간단하지만 치료 안팍에서 사용해볼 수 있는 좋은 팁들이다. 특히 상담을 망설이고 있는 연인, 부부라면 먼저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해보고 가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다.
배운 영어 표현
- Use that as a memory device to bring to mind what it is that you really looking for in your relationship (~가 무엇인지)
반응형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에서 상처를 딛고 그럭 저럭 살아가기 (0) | 2022.10.16 |
---|---|
[논문] 가정에서 자란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의 과정. (0) | 2022.10.13 |
DSM-5 TR 개편 수정 사항-2. updated disorders 개인적 중요도 상 (0) | 2022.06.05 |
DSM-5 TR 개편 수정 사항-1. 소아 (0) | 2022.06.04 |
MMPI-2와 로르샤하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