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DSM-5의 text revision(TR) 버전이 DSM-5가 나온 2013년 이후로 10년 만에 나오게 되었다.
DSM-TR 버전에서 업데이트된 수정 사항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먼저 소아 파트의 수정사항은 많지는 않다.
(1) Autism Spectrum Disorder
"as manifested by the following” was revised to read “as manifested by all of the following”
- 진단기준의 모든 증상을 충족해야 하는 것으로 명료하게 수정함. 진단의 threshold를 high하게 유지하기 위함. 즉 보수적으로 진단함.
(2) Disruptive Mood Dysregulation Disorder
- “6–18"세에 진단 가능한 것으로 업데이트됨. 이전에는 "6세 이전 혹은 18세 이후에 처음으로 진단될 수 없다"로 다소 애매한 연령 범위였다.
(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6세 혹은 그 이하의 아동들에게이 미디어를 통한 노출이면 안 된다는 점을 중복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이 부분을 제외함.
(4) Prolonged Grief Disorder
- 소아, 청소년 vs. 성인의 애도 반응이 구분되기 때문에 이에 대해 기술하였음.
(아직 TR 버전을 보지 못하여 이 부분은 정확히 모르겠다.)
더 많은 정보는 아래 americal psychiatric association DSM-5-TR Fact Sheets에서 볼 수 있다.
https://www.psychiatry.org/psychiatrists/practice/dsm/educational-resources/dsm-5-tr-fact-sheets
Psychiatry.org - DSM-5-TR Fact Sheets
Download fact sheets that cover changes in the new edition, updated disorders,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DSM–5-TR.
psychiatry.org:443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Minutes Therapy Tips] 커플 상담, 부부 상담 (상담을 망설이는 커플들도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해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들) (0) | 2022.08.30 |
---|---|
DSM-5 TR 개편 수정 사항-2. updated disorders 개인적 중요도 상 (0) | 2022.06.05 |
MMPI-2와 로르샤하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0) | 2022.06.03 |
2022 한국임상심리학회 봄 학술대회 후기 (0) | 2022.04.17 |
[임상심리/뇌과학] 시상하부와 성호르몬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