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1 및 관련 척도 정리(20.03.10)
- 13/31
척도 3 상승이 척도 1 상승으로 인한 비관주의, 불평하는 냉소주의를 완화해줌
만약 2번 척도가 3번째로 높다면, 우울, 비관주의가 나타나는데, 우울과 비관주의는 repression, denial로 인해 표현이 되긴 하지만, 오랫동안 고통받는 것을 괜찮은 것처럼 받아들인다
L, K가 높다면, repression, denial, fear of being judged는 더 높음
3>1(10점 이상): 환심사기, 사회적인 인정, 승인의 욕구와 함께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고통받는 신체적 불평이 나타남. 감정적인 연결하고 싶은 욕구로부터 생성된 repression과 denial (3번 척도)가 만연하고, 1번척도의 특성(신체적인 불편감)은 척도3의 defense를 통해 나타남.
13/31척도의 60%가 어린 시절 부모님의 죽음을 맞이함. 13/31척도가 나타날 경우,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것에 대해 “barve 용감하게” 적응적으로 대처하고 화가 표현되는 것을 막으려는 적응적 시도일 수 있음
Socially acceptable, conflict avoider, repression and denial of negative emotion, and expression through physical symptoms
- Conversion V
13/31과 다른 점: anxiety와 depression이 나타나지 않음!
La belle indifference, beautiful indifference
심리적, 대인관계적 문제를 사회적으로 수용가능한 방식으로 해석하고자 함(문제를 부인하고, 비관주의나 우울한 기분 표현을 못함)
척도 9 상승이 극도로 상승하면, manic defense일 가능성, 덜 안정적이어서 manic defense이 문제해결에 불충분하면 depression 느낄 수도 있음
신체적 증상을 강조하고 정서를 동반하지 않는 고통을 호소하는데, 이는 실제로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연결성(emotional connection)이 너무 중요하고 이에 대한 욕구가 세서 smile과 함께 고통이 표현되는 것임
- 13/31, High K code
Overcontrol, inhibition, denial, need for social acceptance
감정적 고통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느끼는 고통은 훨씬 더 심함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공동체에 기여하는 이상이 삶을 조직화 했을 수 있음; 심리적 어려움을 weakness, 꾀병으로 느낌
치료
n assertiveness training, emotional support, helping finish grieving about past losses
n 높은 K로 인해 강한 감정에 대한 탐색을 더 불편해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함
- 132/312
2번 척도의 depression (슬픈 기분, 비관주의, 위축) 표현이 감정적인 연결과 확인의 욕구(지지, 사랑, 인정받고 싶은 욕구) 때문에 mute됨. (척도 3 defense(denial, repression)로 나타나듯이)
즉, 긴장, 고통, 피로감 등의 삽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대부부은 cheerful한 모습을 보임
치료
n 2번 척도가 상승하면서, 이들은 그들의 신체적 증상이 어떻게 그들을 “worn them out” 지치게 했고, 기저의 우울을 느끼게 했는지에 대해 듣는 것에 열려 있음.
n 우울 약물치료 필요할 수 있음. 심리치료는 현재의 상실, 스트레스가 과거 아동기 상실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어떻게 재반복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춤.
n 지지적이고, 비판단적인 환경, 이완훈련, CBT, 혹은 최면까지도 고통을 다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이완훈련 중에는 억압된 분노, 슬픔을 자극하고, 과거 상실 경험을 다루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 134/314 code
특징: somatic complaints + 충동적, 자기패배적인 긴장 감소 행동
4의 특성으로 인해 조작적인 (교묘한) 의존성, 때때로 표현되는 충동성, 감정적인 불신이 예상됨. 자신의 증상에 대해 무관심하고, 사회적 인정(승인)을 위해 역할놀이하고, 수많은 신체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들은 그들의 의존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데 쓰일 수 있음.
34/43처럼 가끔 폭발적이거나 manipulative할 수 있음(분노는 삽화적으로 폭발하거나 수동공격적으로 표현됨)
Fear of abandonment + demands to be taken care = 관계에서 접근-회피 갈등. 그들이 남을 어떻게 소외시키는지 insight 없음.
치료
n 13/31치료 + 분노 인식과 관리(4): 분노가 있지만 거절당하고 버려질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과하게 통제된 다음 폭발하기 보다는 처음부터 잘 관리하도록.
n 과거 영향: 과거 유기/학대 경험(무가치한 것으로 취급함)으로 인해 1) 분노 표현 어렵고, 감정적으로 shutting down되었을 수도 있음. 2) 부여받은 role expectation에 맞추기 위해 감정을 전반적으로 과잉통제하고 있을 수도 있음. 결국, 분노를 표현하지 못하고 쌓여 3)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됨.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4) 사람들에 대한 불신이 자리잡고 있어서 조종적이거나 갈등을 피하기 위해 하얀 거짓말을 하기도 함.
n 치료 방법: 언제, 어떻게 분노가 쌓였는지 파악하고, 이 분노가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기 전에 표현하는 법을 배우자.
- 136/316
6으로 인해 비난받거나, 자신에게 부당한 요구하는 것에 높은 민감성 보임
13/31 + 36/63 특징(편집증적 방어, 자신의 분노를 다른사람에게 투사하는 경향)
“mentally ill”하다고 평가받는 것에 민감함. 자신감(pride)이 높고, 경직된 도덕성, 다른 사람을 판단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 특히 사회적 이미지, 매력적이고 합리적이고, 규칙을 준수하고 비난받지 않는 것에 대한 강한 욕구가 있음
비난받지 않기 위해 남들보다 잘 하려고(“be better than others”) 하기 때문에 경쟁적인 모습 보일 수 있음.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 증상(장기, 두통, 꼬리뼈 쪽 아픔)이 증가함.
분노가 과잉통제됨. 뭔가 잘못되었다고 느끼면 “정의”를 찾는 것에 집중할 수 있음.
편집증적 특징은, nice하고 사회적으로 옳은 행동을 하는 체하면서 더 미묘하게 표현될 수 있음
치료
n 치료 중 행동: 통찰, 카타르시스 느끼기 전에 먼저 치료자가 자기 편이라고 느껴야함 평가 불신 때문)
n 과거 영향: 이들은 과거 비난, 판단의 아동기 경험이 있을 수 있는데, 부모님이 높은 도덕적 기준을 가져서, 이들은 부모님의 엄격한 가치를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고,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을 것임(작은 도덕적 결함에도 심하게 혼남). 이들은 부모가 되서도 자신이 했던 경험을 똑같이 자녀에게 할 가능성이 높음(도덕적, 훈육적, 엄격함)
n 치료 방법: 첫 초점은 그들이 원하는 바를 (분개하는 감정이 생성되는 것을 허락하지 말고)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도움. 또한 그들이 판단당하지 않기 위해 예방하는(선제하는)방어로써 남들을 어떻게 판단하는지 봄. + 이완치료, 자신감 회복
- 137
심각한 불안, 공황 발작, 심장계 호소(심계항진, 상복부 고통)가 흔함
원래도 의존적인 codetype(13)에 7이 더해져 불안, 죄의식, 거절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더해짐.
갈등을 매우 불편해하고, 의존적이어서 쉽게 따돌림당하거나 조종당함. 굉장히 아첨하는 방식으로 복종함.
(의존성 성격장애 가능?) 불안, 경직됨,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지 못함. 직업이나 경제적인 부분, 그들의 삶을 관리하는 것, 아동 양육까지 아예 dominant한 배우자에게 다 맡딜 수 있음. 낮은 자존감, 불안 때문에 직업적으로 낮은 적응 가능성.
치료
n 치료 중 행동: 자신을 panicked, 의존적인 아이로 바라봄. 동조적이고 환심을 사려고 하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일시적인 방법으로 재확인 욕구(need for reassurance)가 계속되면 치료자를 지치게 할 수 있음. 치료자가 인내심이 떨어지거나 분노했다고 느끼면 더 불안하고 재확인을 요구함
n 과거 영향: 아동기에 예상할 수 없게 폭발적이거나 거절당하는 부모나 상황 있었을 가능성. 삶 전반을 예측불가능한, 압도적인 감정적, 신체적 고통으로부터 지키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을 나타냄
n 치료 방법: 과거 그들을 두렵게 한 외상성 사건을 살펴보고, deconditioning therapy(체계적 둔감화, implosion therapy)를 사용하여 불안 줄이기. Self-soothing, assertiveness training, 이완훈련, 그들의 내변의 불안에 떨고 있는 아이를 재양육 하는 치료가 도움이 됨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 codetype 정리: 24/42, 243/423 (0) | 2020.04.01 |
---|---|
MMPI codetype 정리: spike 2, 23/32, 213/231 (0) | 2020.03.24 |
MMPI codetype 정리: 18/81, 19/91, 10/01 (0) | 2020.03.18 |
MMPI code type 정리: 14/41, 15/51, 16/61, 17/71 (0) | 2020.03.17 |
MMPI-2 codetye 정리: 138/318 (0) | 202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