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1 및 관련 척도 정리_2
- 138/318
모호하고 기괴한 신체적 불평 + 특히 종교적, 성적 주제에 대한 기이한, 비일상적인 사고, 믿음
Odd codetype: neurotic + schizoid, psychotic element의 혼합
고전적인 접근 회피 갈등: 가까워지고 재확인 받고 싶은 욕구(3, approach)와 함께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거리두기(8, avoidance)가 나타남. 건강염려증적인 불평아 “anchor”로 작용해서 이 개인이 더 과대한 정신증적 증상으로 와해되지 않고 현실속에 있고 care-eliciting(보호를 불러일으키는) 속에 있도록 함
기분과 신념 체계 모두 꽤 변화하는 경향을 가져, 양극성 장애로 잘못 진단되기도 함.
치료
u 과거 영향: disturbed family(심각한 정신장애 이력이 있는 가족력) 가능성, 많은 미해결된 의존성 욕구가 있을 수 있음
u 연상 이완 정도가 얼마나 스트레스 받았는지를 알려주는 barometer가 되기도 함
u 치료방법: 구조화되고, 천천히 진행해야함; 재양육하면서 지지적인 치료를 고도로 구조화된 상황에서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됨; 만약 성적 문제 탐색한다면 전이, 역전이 최소화하기 위해 평소보다 더 구조화되게 진행해야 함
제언
u 진단하기 어렵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많은 신체적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생각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굉장히 민감한 사람이고, 갈등을 불편해해서,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는 사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럴 때에는 자신의 생각을 입 밖으로 말하고, 사람들이 당신을 이해하도록 하는 게 어려울 수 있다.
u 과거, 안전하지 않고 두려운(frightening) 환경에서 자라서 자신만의 세계로 도망가서 안전하게, 긍정적으로 있는 방법을 터득했을 지도 모른다. 현재는 스트레스 받으면 신체적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u 생각이 질주할 때에는 이완 훈련과 사고 중지가 도움될 수 있다. 스트레스 받을 것을 미리 예상한 경우에는, 미리 다른 사람에게 전하고 싶은 바를 적어보면 생각이 깨끗해질 수 있다.
'임상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 codetype 정리: 24/42, 243/423 (0) | 2020.04.01 |
---|---|
MMPI codetype 정리: spike 2, 23/32, 213/231 (0) | 2020.03.24 |
MMPI codetype 정리: 18/81, 19/91, 10/01 (0) | 2020.03.18 |
MMPI code type 정리: 14/41, 15/51, 16/61, 17/71 (0) | 2020.03.17 |
MMPI-2 codetye 정리: 13/ 31, conversion V (전환V), 132/ 312, 134/ 314, 136/ 316, 137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