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

MMPI codetype 정리: spike 2, 23/32, 213/231

by 나는내길 2020. 3. 24.
반응형



MMPI 코드타입 정리: 2 상승, 23/32, 213/231



Spike 2

–   반응성이거나 만성적인 우울우울 증상이 가장 문제가 되고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임

–   대학생에게서 척도 상승은 반대 성별학습직업적 선택에 대한 걱정일 수 있음

–   상승이 자살사고를 나타내진 않지만자살 문항 반응했을 경우 탐색 필요

–   2는 종종 안정적이어서 스스로 얼마나 우울한지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

–   예후전반적으로 좋음(약물과거 상실을 애도하도록 돕는 직접적 접근에 잘 반응함)

–   치료

Ø  통찰 치료인지적 재구조화정신성 약물주장 훈련이완 훈련자존감 형성과거 상실에 대한 애도 다루기 등

Ø  부정정 생각을 바꾸고파국화하는 생각을 피하기감사 일기를 써서 자신의 생각만큼 암울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기

Ø  약물치료 통해 수면 질 높이고에너지식욕긍정적인 기분 높일 수 있음

 


Spike 2, low 9 code (2 유의미한 상승, 9번척도 T<45인 경우)

–   심각하고 신중한 사람쉽게 포기함

–   에너지 낮음쉽게 피로해짐압도되는 느낌계획적인 주장성 부족

–   Bipolar disorder일 가능성현재 우울상태과거 임상적 역사 탐색 필요

–   치료

Ø  지시적 접근인지적 재구조화사고중지이완훈련주장 훈련 효과적임책임감 다 한 후 (일 끝낸 후자기 강화 훈련 통해서 자신의 성취를 어떻게 축하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음



23/32

–   Depression + hysteria 특성이 함께: 책임감 있고, 갈등을 피하기 위해 남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기도 함

Ø  스트레스 받으면(, 대인관계 갈등을 피하기 위해) 신체적 증상 나타날 수 있음

Ø  항상 웃으며 긍정적으로 지내려고 하지만, 몇몇 우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음(수면곤란, 피곤함, 낮은 에너지, 식욕 및 성욕 감소 등)

–   과거 영향: 가족 내 일찍 죽거나 상실한 경험이 있거나, 감정적으로 다가갈 수 없는 부모님 밑에서 자라서, 어렸을 때부터 의무를 다하고 책임감 있는 역할을 하며, 당신이 느끼기에 이미 충분히 힘든 그 어른을 괴롭히지 않고 용감하고 “good soldier”처럼 행동했을 수 있음

–   성취지향적이고, 그들을 증명해야 한다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지만, 동시에 그들이 하는 노력만큼 남들이 알아주지 못한다고 느끼고, 책임감으로 인해 부담이 됨. 애정, 인정을 갈구하지만, 동시에 실패와 거부를 두려워함

–   치료: 분노 표현함으로써 타인에게 거부받지 않는다고 느끼면서도 자신의 limit을 드러낼 수 있는지 배우기

Ø  불안을 느끼게 하는 주제를 다루면서 점진적인 이완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음

Ø  정서적 통제 잃을까봐, 유기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카타르시스를 먼저 느끼게 하는 것은 위험함; go with the resistance




213/231 code

–   Smiling depression

–   과거 영향: 부모님이 일찍 죽거나, 어린시절 사랑받을 수 없는 경험을 해서, 어려움을 웃으면서 용감하게 이겨내야 한다고 생각했을 가능성(개인적인 생각: 폭력 경험보다는 아버지상의 감정적인 철수, 거부, 방임, 죽음, 주변사람의 신체적 아픔 등으로 나를 진심으로 돌보아줄 수 있는 figure의 부재. 내가 나를 돌보기 위해 발전한 방법일 것). 기쁨보다는 무엇이 잘못될 수 있을지를 인식하면서 살아옴.

–   Primary relationship에서 접근-회피 경향 나타냄; 이로 인해 co-dependent한 관계(213/231 개인은 자신을 희생하고, 상대방은 이 이점을 활용함) 나타날 가능성

–   다양한 신체증상(두통, 허리통증, 소화불량 등)으로 인해 증상이 더 나빠지거나 죽을까봐 걱정함

–   어떨 때는 어려움을 웃으며 이겨낼 수 있지만, 다른 때에는 슬픔, 상실, 절망으로 압도될 수 있음

–   사고: 웃음 아래에는 나를 버리지 않을까 하는 걱정과,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지 않으면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있을 수 있음

-> 지지, 주장적 치료 후 어느정도 객관적인 통찰이 가능하면 CBT 통해 자신의 사고 수정 가능할 것

–   치료

Ø  치료 중 행동: approach-avoidance(치료자에게 잘 보이려 하지만, 치료자가 참을성이 다 하고 자신을 버릴까봐 두려워함)

Ø  자신의 과거 트라우마, 부모의 부재에 대한 감정적 강도를 부인하므로, 일찍부터 탐색하지 말 것, “go with the resistance”

Ø  자신에 대해 공감능력 발달: 거리두기(다른 사람이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다면~)

Ø  이완 훈련, 주장성 훈련, 과거 경험에 대한 카타르시스 경험, 분노 인식 및 표현 경험

    주의: 자살 가능성 평가; 필요 시 antidepressant


반응형